반응형 전체 글580 웹서버 주소로 도메인 네임 사용하기(1) - hosts file 여러분들의 웹서버는 다음과 같은 주소로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http://[웹서버의 ip주소]/ 그런데 ip주소가 아닌 "*.com" 같은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하면 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hosts 파일을 설정하면 된다. hosts 파일을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기 앞서 호스트 파일과 DNS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동작원리를 이해해보자. 1. DNS 란? 이전 포스팅들중 DNS에 대해 설명한 포스팅이 있었는데 그 내용을 이미지로 가져왔다. 결국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p주소를 반드시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도메인주소만 알고있어도, DNS에서 이 도메인주소를 ip주소로 해석해주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 가능한 것이다. 2. .. 2021. 4. 1. [Linux] group / chown / elinks 1. group group : 사용자들의 모임 새 group을 생성하고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들을 살펴볼 것이다. 1) group 생성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고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sudo groupadd [옵션] [그룹명] 예시 teamA 라는 그룹을 생성하고, /etc/group에 있는 group목록을 조회하여 teamA 그룹이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teamA라는 그룹이 생성되었다. 2) group에 user추가 (1) useradd -G useradd 명령어의 -G라는 그룹 옵션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새 user를 생성할 때 group을 지정해준다. useradd -G [그룹명] [유저명] (2) usermod -a -G usermod 명령어의 -a, -G 옵션은 아래 링크.. 2021. 3. 30. Domain/DNS/Port/Internet(ip) 1. Domain domain은 값 또는 작업의 집합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네트워크 상에서는 컴퓨터 주소를 알기 쉬운 영문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의미도 있다. 도메인 네임은 인터넷 주소를 의미하게 된다. 2. DNS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이며, 도메인이나 호스트이름을 ip주소로 해석해주는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DNS에서는 이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환해서 서버에 전송한다. 이미지 출처 : cloudacademy.com/blog/how-dns-works/ 3. Port Port는 논리적 채널을 의미한다. 하나의 호스트에서는 여러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어플리케이션 서버인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내 컴.. 2021. 3. 27. [Linux] chmod로 접근 권한 지정하기 chmod : change mode 접근 모드를 변경하는 명령어 chmod 명령어를 설명하기 앞서 접근 모드가 무엇인지 알 필요가 있다. 아래 이미지가 명령어 "ls -l"에 대한 출력에서, 접근 모드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접근 모드에 대해 잘 모른다면 아래 포스팅을 읽고 오는 것을 권장한다. kimcoder.tistory.com/273 [Linux] ls -l 명령어 정보 완전 분석 ls 명령어의 -l 옵션은 디렉토리 내용을 자세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정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하게 분석해보고자 한다. ls -l 명령어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8 kimcoder.tistory.com 사용법 1 chmod [옵션] [모드 변경식] [파일명] ※ -R 옵션 : 디렉토리에 적.. 2021. 3. 27. [Linux] ls -l 명령어 정보 완전 분석 ls 명령어의 -l 옵션은 디렉토리 내용을 자세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정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하게 분석해보고자 한다. ls -l 명령어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8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영역별 의미는 이렇다. 1영역 : 종류 [일반 파일(-), 디렉토리(d), 블록 디바이스(b), 문자 디바이스(c), 링크(l)] 2영역(*) : 접근 모드 [read(r), write(w), excute(x)] 3영역 : 하드 링크의 수 - 이 문서에 연결된 하드 링크의 수를 나타낸다.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한 개념이다. 4영역 : 소유자 5영역 : 그룹 6영역 : 크기(Byte) 7영역 : 최종 수정 시각 8영역 : 이름 2영역 보충설명 접근 모드는 총 9자리 문자열로 표시된다.. 2021. 3. 25. [Linux] alias / Multi user / User 추가 1. alias 말 그대로 별명이라는 뜻이다. alias를 이용하면 입력할 명령어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alias 별명='명령어' 예시 1) ls- al 별명 설정 : alias l='ls -al' 예시 2) 설치 별명 설정 : alias install='sudo apt-get install' (별명과 섞어서 이용 가능) 2. Multi user 리눅스를 소개하는 포스팅에서, 윈도우와 달리 리눅스(유닉스 계열)은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라고 언급했다. 그리고 사용자마다 명령에 대한 권한은 모두 다를 것이고, 이를 제어하는 것은 필수적인 작업이다. 1) 유저 정보 확인 명령어 (1) id uid : user id gid : group id groups(그룹들) : 사용자가 속해있는 .. 2021. 3. 24. [Linux] Daemon / Apache / cron(명령어 주기 설정) 1. Daemon 백그라운드에서 항시 대기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이 필요한 작업이 생기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작업을 처리해준다. 그래서 클라이언트에게서 언제 요청받을지 모르는 웹서버에서는 Daemon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웹서버 소프트웨어로 Apache가 있다. 2. Apache 1) apache 소개 World Wide Web서버용 소프트웨어이다. apache를 실행하면 외부에서 자신의 컴퓨터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컴퓨터가 서버가 되는 것이다. 성능도 매우 좋고, 패치 파일도 꾸준히 제공하고 있고, 거의 모든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고, 무료이기 때문에 인기가 매우 좋다. 2) apache2 설치 리눅스에서 apache2 서버를 설치해보자. 명령어는 다.. 2021. 3. 23. [Linux] 파일 찾기 / $PATH / 멀티 태스킹 1. 파일 찾기 (1) find 파일을 찾는 명령어인 find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옵션이 너무 많아서 사용 예제를 일일이 설명하기는 힘들 것 같다. 대신 35가지의 주요 예제를 잘 정리한 사이트 링크를 첨부할 것이다. find 명령어는 이름, 날짜, 크기, 종류 등을 기준으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www.tecmint.com/35-practical-examples-of-linux-find-command/ 35 Practical Examples of Linux Find Command The Linux Find Comm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requently used command command-line utility in Unix-like operatin.. 2021. 3. 22. [Linux] 디렉토리 구조 / Process 1.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의 root(/) 디렉토리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디렉토리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1) /bin - User Binaries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됨 ※ Binary : 이진,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는 프로그램 (2) /sbin - System Binaries 관리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됨 (3) /etc - Configuration Files 환경설정 관련 파일들이 저장됨 (4) /var - Variable Files 수시로 바뀔 수 있는 가변 파일들이 저장됨 (5) /tmp - Temporary Files 임시저장 파일들이 저장됨 (6) /home - Home Directories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7) /lib - System L.. 2021. 3. 19.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65 다음